먼저 제 블로그에 이 주소 (https://jkc-story.tistory.com/30) 에서 KMSpico의 해결방법을 하셨음에도 해결이 되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시는분들도 이 방법을 잘 읽어보고 혹시나 본인의 컴퓨터도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작업관리자의 CPU 사용률이 너무 높다?
위의 사진처럼 CPU 사용률이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높은 점유률을 보인다면 그것은 바로
Windows Defender의 문제입니다!
최근들어 좋은 제품 더 빠르고 더 좋은 기기들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그 만큼 게임을 하는 이용자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 회사는 더욱 더 성능좋은 소프트웨어를 내놓기 위해
많은 개발과 업데이트를 진행하는데요. 여기서 윈도우 10의 치명적인 오류라 볼 수 있는
Windows Defender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좋지못한 하자가 한가지 생겼습니다.
저도 지금 이 일 때문에 CPU가 많이 느려졌어요 ㅠㅠ..
빠르게 발견하신 분들은 이 글을보시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위의 사진처럼 점유률이 높아서
다른분들이 포스팅한 글들을 많이찾아봤어요!!
하지만, 현실은 제 컴퓨터는 노트북이고 전혀 통하지 않는 방법이더라구요...
위의 사진과 같은 제외 항목의 추가를 예로 들자면
저도 똑같이 해두었습니다... 근데 전혀 CPU의 점유률이 줄지 않더라구요 ㅠㅠ..
윈도우 10 업데이트의 최대 큰 하자랄까요?
그래서 이 것 때문에 많은 분들이 검색해봐도 안나오는 해결방법 때문에
답답한 분들이 많이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해요!
CPU의 점유률을 줄이려면 해결방법은?
위의 사진처럼 검색창에 gpedit.msc(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검색합니다.
검색할때 gpedit.msc 의 풀네임을 입력해야 뜨는 경우도 있기 떄문에
몇자만 적어서 안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로컬 정책 편집기가 뜨면 위의 사진처럼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안함을 들어가신 후
위의 사진처럼 사용안함의 사용안함을 사용으로 바꿔주시면 Windows Defender가 차지하는 높은 점유률을 줄일 수 있으며 컴퓨터가 다시 빨라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컴퓨터가 빨라진 것 까지는 좋았지만....이와같은 문제가 생기는데요?
디펜더를 사용하지 않았더니 컴퓨터가 개인이[개인인경우 다시 윈도우를 깔면(포맷) 정상작동함]아닌 소속한 곳이 있다면 이렇게 관리가 넘어가버립니다. 이것은 디펜더를 끄면 발생하는 오류기 때문에 당황하지 마시고
디펜더를 다시 위의 사용안함을 사용하는 방식과 반대로 사용안함을 사용안함으로 다시 돌려 놓으신 후 재부팅을 하면 해결되는 오류입니다.